I Seul Bee

수학교사를 위한 한글 문서 편집 연수 자료

수학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글 문서 편집 연수 자료입니다. 강의 교재 : 강의교재-수학교사를-위한-한글-문서-편집.pdf 예제 파일 : 한글-문서-편집-연수-예제-파일.zip 네이버 나눔글꼴 : http://hangeul.naver.com/2017/nanum 연수 개요.  이 수업에서는 교사로서 알아두면 편리한 한글 문서...
Continue reading
0 Comments

기초 해석학 강의 자료 (2017년 1월)

2017년 1월에 학부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기초 해석학 강의 자료입니다. 기초-해석학-길잡이-2017-01.pdf 다음은 수업시간에 사용한 프레젠테이션 자료입니다. 강의노트에는 '다변수 미적분학'도 포함되어 있지만, 실제 수업은 '해석적 함수'까지 했습니다. 한 화면에 들어...
Continue reading
0 Comments

측도와 적분 – 르베그 적분의 성질

르베그 적분은 리만 적분과 마찬가지로 선형성을 가진다. 하지만 르베그 적분은 리만 적분과는 다른 유용한 성질도 가지고 있다. 르베그 적분의 성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정리는 보통 3개를 꼽을 수 있다. 바로 '단조수렴...
Continue reading
0 Comments

측도와 적분 – 르베그 적분의 개념

리만 적분은 피적분함수의 정의역을 분할하지만 르베그 적분은 피적분함수의 치역을 분할한다. 따라서 르베그 적분은 치역이 유한인 함수의 적분을 먼저 정의하고 그것을 확장하여 일반적인 가측함수의 적분을 정의한다. 1. 단순함수의 르베그 적분 먼저...
Continue reading
0 Comments

측도와 적분 – 가측함수의 개념과 기본 성질

르베그 적분에서는 피적분함수의 역상의 체적을 이용하여 적분을 정의하기 때문에 주어진 함수에 대하여 공역의 가측집합의 역상이 가측집합 되는지를 판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가측집합의 역상이 가측집합이 되는 함수를 가측함수라고 부른다....
Continue reading
0 Comments

측도와 적분 – 측도의 개념과 기본 성질

실해석학을 공부할 때 처음 만나는 개념이 '측도'이다. 직관적으로 측도란 집합의 체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선분의 체적은 선분의 길이이고, 평면도형의 체적은 도형의 넓이이며, 입체도형의 체적은 도형의 부피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Continue reading
1 Comment

측도와 적분 – 역사적 배경

이 글에서는 르베그 적분이 나타난 역사적 배경과 르베그 적분의 개념을 직관적으로 살펴봅니다. 이 글의 내용은 학습자가 리만 적분의 성질을 잘 알고 있다는 가정 하게 전개됩니다. 19세기까지 적분은 기하학적 직관에 의존하여...
Continue reading
1 Comment

집합의 크기와 연속체 가설

두 집합이 유한집합일 때에는 각각의 원소의 개수를 세어 어느 것이 더 많은 원소를 가지고 있는지 비교할 수 있다. 그러나 무한집합의 경우에는 원소의 개수를 직접 세는 방법으로 크기를 비교할 수 없다....
Continue reading
0 Comments

G. E. Martin 교수님의 Geometric Construction

작도는 공부할 수록 매력적이다. 잘 알려진 '3대 작도 불능 문제'는 작도 문제라기 보다는 대수 문제에 가까운 반면 Mohr-Mascheroni 정리나 Poncelet-Steiner 정리는 순수한 기하와 작도의 문제이다. 특히 이러한 발상이 고차원에서도 성립하는...
Continue reading
0 Comments

이슬비 감독의 단편 작품 3편

21세기 명랑 여고생활 지침서 Guide book for perfect high school life in 21st century (2009년 9회 대한민국세계청소년영화제 특별상 수상) 엄마가 수상하다 My mom is suspicious 신쿠우 Shinqoo 감독 프로필 보기...
Continue reading
0 Comments

고차원 공간에서의 Poncelet-Steiner 정리

고차원 공간에서의 Poncelet-Steiner 정리 Poncelet-Steiner Theorem in Higher-Dimensional Euclidean Spaces 고차원-공간에서의-Poncelet-Steiner-정리.pdf ABSTRACT Georg Mohr and Lorenzo Mascheroni independently discovered that any geometric construction that can be performed by a compass...
Continue reading
0 Comments

카르노의 정리 (Carnot’s theorem)

예각삼각형의 외심으로부터 세 변까지의 거리의 합은 외접원의 반지름과 내접원의 반지름의 합과 같다. 즉 위 그림과 같이 예각삼각형 ABC에서 내심을 I, 외심을 O라고 하고 외심에서 세 변에 내린 수선의 발을 D,...
Continue reading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