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상수 \(e\)와 원주율 \(\pi\)는 무리수이다 (증명)

자연상수 \(e\)와 원주율 \(\pi\)는 \(1,\) \(0,\) \(i\)와 더불어 수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수이다. \(\pi\)는 초등학교 과정에서 처음 등장하고 \(e\)는 고등학교 과정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이 두 상수가 무리수라는 사실은 증명 없이 받아들인다.

이 포스트에서는 자연상수 \(e\)와 원주율 \(\pi\)가 무리수임을 증명한다. 이 포스트에서 소개하는 증명 방법은 고등학교 과정의 미적분을 공부하면 이해할 수 있다.

\(e\)가 무리수라는 사실의 증명

자연상수를 정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계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의 1. (자연상수)

\[e := \lim_{n\to\infty} \left( 1+ \frac{1}{n} \right)^n\tag{1}\]

먼저 이와 같은 정의 방법이 바른 방법임을 보여야 한다.

보조정리 1. 정의 1의 극한 (1)은 수렴한다.

증명

\(e_n := (1+ 1/n)^n\)이라고 하자. 단조수렴 정리를 이용하여 수열 \(\left\{e_n \right\}\)이 수렴함을 보이자.

먼저 \(\left\{ e_n \right\}\)이 증가수열임을 보이자. \(n \ge 2,\) \(x > -1\)일 때 베르누이의 부등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1+x)^n > 1+nx .\] (만약 위 부등식을 배우지 않았다면 직접 증명해 보자. \(n\)에 대한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면 된다.)

위 부등식에 \(x = -1/n^2\)을 대입하자. 그러면 \[ \left( 1 - \frac{1}{n^2} \right)^n > 1- \frac{1}{n}\] 을 얻는다. 이 식을 변형하면 \[ \left( 1 + \frac{1}{n} \right)^n \left( 1- \frac{1}{n} \right)^n > 1- \frac{1}{n} \] 이며, 양변을 \( (1- 1/n)^n\)으로 나눈 뒤 변형하면 \[\left( 1+ \frac{1}{n} \right)^n > \left( 1 + \frac{1}{n-1} \right)^{n-1}\] 을 얻는다. 즉 \(e_n > e_{n-1}\)이므로 \(\left\{ e_n \right\}\)은 증가수열이다.

다음으로 \(\left\{ e_n \right\}\)이 위로 유계임을 보이자. \(n\)이 충분히 큰 자연수일 때, 이항 정리를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begin{align} e_n &= \left( 1 + \frac{1}{n} \right)^n \\[4pt] &= \sum_{k=0}^n \binom{n}{k} \frac{1}{n^k} \\[4pt] &= 1+1+ \sum_{k=2}^n \binom{n}{k} \frac{1}{n^k} \\[4pt] &= 1+1+ \sum_{k=2}^n \frac{n!}{k! (n-k)!} \frac{1}{n^k} \\[4pt] &= 1+1+ \sum_{k=2}^n \frac{1}{k!} \cdot \frac{n}{n} \frac{n-1}{n} \frac{n-2}{n} \cdots \frac{n-k+1}{n} \tag{2}\\[4pt] &< 1+1+ \sum_{k=2}^n \frac{1}{k!} \tag{3} \\[4pt] &= 1 + 1 + \left( \frac{1}{2!} + \frac{1}{3!} + \frac{1}{4!} + \cdots + \frac{1}{n!} \right) \\[4pt] &< 1 + 1 + \left( \frac{1}{2} + \frac{1}{2^2} + \frac{1}{2^3} + \cdots + \frac{1}{2^{n-1}}\right) \\[4pt] &< 1 + 1 + 1 = 3.\tag{4} \end{align}\] 즉 \(\left\{ e_n \right\}\)은 위로 유계이다.

그러므로 단조수렴 정리에 의하여 \(\left\{ e_n \right\}\)은 수렴한다.

\(e\)가 무리수임을 보이려면 다음 등식이 필요하다.

보조정리 2. (자연상수의 다른 정의)

\[\sum_{n=0}^{\infty} \frac{1}{n!} = e\]

증명

\(b_n = \sum_{k=0}^{n} 1/k!\)이라고 하고, \(\left\{ b_n \right\}\)의 극한을 \(B\)라고 하자.

명백히 \(\left\{ b_n \right\}\)은 증가수열이고, (3)과 (4)에 의하여 \(\left\{ b_n \right\}\)은 위로 유계이므로 단조수렴 정리에 의하여 \(\{ b_n \}\)은 수렴한다. 그러므로 극한 \(B\)는 잘 정되었다.

이제 정리의 등식을 증명하자. 즉 \(e=B\)임을 증명하자.

먼저 (3)에 의하여 \[\left( 1+\frac{1}{n} \right)^n < \sum_{k=0}^n \frac{1}{k!}\] 이다. 이 부등식의 양변에 \(n\,\to\,\infty\)인 극한을 취하면 \(e \le B\)를 얻는다.

다음으로 \(e \ge B\)임을 보이자. 자연수 \(m\)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그리고 \(n\)이 \(m\)보다 큰 자연수라고 하자. (2)에 의하여 \[\begin{align} \left( 1+ \frac{1}{n} \right)^n &= 1 + 1 + \sum_{k=2}^{n} \frac{1}{k!} \left( 1- \frac{1}{n} \right) \left( 1- \frac{2}{n} \right) \cdots \left( 1- \frac{k-1}{n}\right) \\[4pt] & > 1+1+ \sum_{k=2}^{m} \frac{1}{k!} \left( 1- \frac{1}{n} \right) \left( 1- \frac{2}{n} \right) \cdots \left( 1- \frac{k-1}{n}\right) \\[4pt] \end{align}\] 이다. 부등식의 양변에 \(n\,\to\,\infty\)인 극한을 취하면 \[e \ge 1 + 1 + \sum_{k=2}^{m} \frac{1}{k!} = b_m\] 을 얻는다. 여기서 다시 부등식의 양변에 \(m\,\to\,\infty\)인 극한을 취하면 \(e \ge B\)를 얻는다.

그러므로 \(e = B\)이다.

이제 비로소 \(e\)가 무리수임을 증명할 수 있다.

정리 3. \(e\)는 무리수이다.

증명

\(e\)가 유리수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e = p/q\)이고 서로소인 자연수 \(p\)와 \(q\)가 존재한다.

\(b_q = \sum_{k=0}^{q} 1/k!\)이라고 하자. 그러면 \[\begin{align} e-b_q &= \frac{1}{(q+1)!} + \frac{1}{(q+2)!} + \frac{1}{(q+3)!} + \cdots \\[4pt] &= \frac{1}{(q+1)!} \left( 1 + \frac{1}{q+2} + \frac{1} {(q+2)(q+3)} + \cdots \right) \\[4pt] & < \frac{1}{(q+1)!} \left( 1 + \frac{1}{q+1} + \frac{1}{(q+1)^2} + \cdots \right) \\[4pt] &= \frac{1}{(q+1)!} \frac{1}{1-\frac{1}{q+1}} \\[4pt] &= \frac{1}{(q+1)!} \frac{q+1}{q} \\[4pt] &= \frac{1}{q! q} \end{align}\] 이므로 \[q! \left( e-b_q \right) < \frac{1}{q} \le 1\tag{5}\] 이다. 그런데 \(q! e\)와 \(q! b_q\)가 모두 자연수이고 \(e > b_q\)이므로 \(q! \left( e-b_q \right)\) 또한 자연수이다. 이것은 (5)에 모순이다.

그러므로 \(e\)는 무리수이다.

\(\pi\)가 무리수라는 사실의 증명

\(e\)와 마찬가지로 \(\pi\)를 정의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다. 하지만 \(\pi\)는 \(e\)에 비해 친숙하고, 초등학교부터 학부 저학년까지는 \(\pi\)의 정의를 일관성 있게 사용하기에 혼동할 염려가 없으므로 여기서는 따로 정의하지 않고 시작하겠다.

먼저 다음 극한을 증명하자. 이 정리의 내용은 \(n\)이 커질 때 \(a^n\)보다 \(n!\)이 훨씬 빨리 커진다는 뜻이다.

보조정리 4. \(a\)가 상수일 때 \[\lim_{n\to\infty} \frac{a^n}{n!} = 0.\tag{6}\]

증명

\(a=0\)인 경우에는 (6)이 자명하게 성립한다.

\(a > 0\)인 경우를 증명하자. \(m > 2a\)인 자연수 \(m\)을 택하자. 그러면 \(n > m\)일 때 \[\begin{align} \frac{a^n}{n!} &= \frac{a^m}{m!} \cdot \frac{a^{n-m}}{(m+1)(m+2) \cdots n} \\[4pt] &= \frac{a^m}{m!} \cdot \frac{a}{m-1} \frac{a}{m-2} \cdots \frac{a}{n} \\[4pt] &< \frac{a^m}{m!} \cdot \frac{1}{2} \frac{1}{2} \cdots \frac{1}{2} \\[4pt] &= \frac{a^m}{m!} \cdot \frac{1}{2^{n-m}} \\[4pt] &= \frac{a^m}{m!} \cdot \frac{1}{2^n \,2^{-m}} \\[4pt] &= \frac{a^m \,2^m}{m!} \cdot \frac{1}{2^n} \end{align}\] 즉 \[0 < \frac{a^n}{n!} < \frac{a^m \,2^m}{m!} \cdot \frac{1}{2^n}\] 이다. 그런데 \[\lim_{n\to\infty} \left( \frac{a^m \,2^m}{m!} \cdot \frac{1}{2^n} \right) =0\] 이므로 샌드위치 정리(조임 정리)에 의하여 \[\lim_{n\to\infty} \frac{a^n}{n!} = 0\] 이다.

\(a < 0\)일 때에는 \[ - \left\lvert \frac{a^n}{n!} \right\rvert \le \frac{a^n}{n!} \le \left\lvert \frac{a^n}{n!} \right\rvert \] 이고, 왼쪽의 식과 오른쪽의 식이 \(0\)에 수렴함을 이미 증명했으므로 샌드위치 정리에 의하여 가운데 식도 \(0\)에 수렴한다.

다음과 같은 보조정리도 필요하다. 이 보조정리는 뒤에서 적분을 계산할 때 필요하다.

보조정리 5. \(f\)가 실수 전체 집합 위에서 미분 가능한 함수이고 \(y=f(x)\)의 그래프가 직선 \(x = p\)에 대칭이라고 하자. 그러면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2n\)계 도함수 \(y = f^{(2n)}(x)\)의 그래프도 직선 \(x = p\)에 대칭이다.

증명

\(p=0\)인 경우, 즉 \(f\)가 우함수인 경우만 증명해도 충분하다. 왜냐하면 \(p\ne 0\)인 경우에는 함수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평행이동하여 우함수의 그래프가 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f\)가 우함수이므로 연쇄 법칙에 의하여 \(x > 0\)인 임의의 \(x\)에 대하여 \[f ' (-x) = - f ' (x)\] 이다. 양변을 한 번 더 미분하면 연쇄 법칙에 의하여 \[- f ' ' (-x) = - f ' ' (x)\] 이므로 \(f ' ' (-x) = f ' ' (x)\)이다. 그러므로 \(f ' ' \)은 우함수이다.

이로써 우함수의 이계도함수가 우함수임이 증명되었다.

두 번 미분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f^{(2n)}\)이 우함수임이 증명된다.

\(p \ne 0\)인 경우 \(F(x) = f(x+p)\)라고 하면 \(F\)는 우함수이다. 그러므로 \(F^{(2n)}\)도 우함수이다. 그런데 \[f^{(2n)}(x) = F^{(2n)}(x-p)\] 이므로 \(y=f^{(2n)}(x)\)의 그래프는 직선 \(x=p\)에 대칭이다.

증명을 위해 필요한 보조정리 몇 개를 더 준비하자.

보조정리 6. \(n\)이 자연수이고 \(P\)가 정수계수를 갖는 다항함수라고 하자. 만약 \(P\)의 최저차항의 차수가 \(n\)이면 임의의 자연수 \(k\)에 대하여 \(P^{(k)}(0)/n!\)은 정수이다.

증명

\(P\)가 \(m\)차 다항함수라고 하고 \[P(x) = a_m x^m + a_{m-1} x^{m-1} + \cdots + a_n x^n\] 으로 나타내자.

\(k < n\)일 때 \(k\)계 도함수 \(P^(k) (x)\)는 상수항을 갖지 않는 다항함수이다. 그러므로 \(P^{(k)}(0)/n! = 0\)이다.

\(k=n\)일 때 \(P^{(n)}(x)\)의 상수항은 \(n! a_n\)이고, 다른 항은 모두 \(x\)를 인수로 가지므로 \(P^{(n)}(0)/n! = a_n\)이다. 그런데 \(a_n\)이 정수이므로 \(P^{(n)}(0)/n!\)도 정수이다.

마찬가지로 \(k > n\)일 때 \(P^{(k)}(x)\)의 상수항은 정수계수를 갖는 단항식을 \(n\)번 이상 미분하여 상수가 된 것이므로 \(n!\)에 정수를 곱한 형태이다. 따라서 \(P^{(k)}(0)/n!\)은 정수이다.

조금 더 힘을 내자. 이 보조정리는 뒤에서 적분을 계산할 때 식이 간단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정리 7. \(n\)이 자연수이고 \(f\)가 \(2n\)차 다항함수이며 \[F(x) = f(x) - f '' (x) + f^{(4)} (x) - f^{(6)}(x) + \cdots + (-1)^n f^{(2n)}(x)\tag{7}\] 이면 \[\int_0^\pi f(x) \sin x \, dx = F(\pi) + F(0) \tag{8}\] 이다.

증명

부분적분법을 이용하자. \(\sin 0 = \sin \pi = 0\)이라는 사실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다음을 얻는다. \[\begin{align} \int_0^\pi f(x) \sin x \,dx &= \left[ -f (x) \cos x \right]_{0}^{\pi} + \int_0^\pi f ' (x) \cos x \,dx \\[4pt] &= \left[ -f (x) \cos x + f ' (x) \sin x \right]_{0}^{\pi} - \int_0^\pi f ' ' (x) \sin x\,dx \\[4pt] &= \left[ -f (x) \cos x \right]_{0}^{\pi} - \int_0^\pi f ' ' (x) \sin x\,dx \\[4pt] &= \left[ -f (x) \cos x + f ' ' (x) \cos x \right]_{0}^{\pi} + \int_0^\pi f ^{(3)} (x) \cos x\,dx \\[4pt] &= \left[ -f (x) \cos x + f ' ' (x) \cos x \right]_{0}^{\pi} - \int_0^\pi f ^{(4)} (x) \sin x\,dx \\[4pt] &= \left[ -f (x) \cos x + f ' ' (x) \cos x - f^{(4)}(x) \cos x \right]_{0}^{\pi} + \int_0^\pi f ^{(5)} (x) \cos x\,dx \\[4pt] &\quad\quad \vdots \\[4pt] &= \left[ -F(x) \cos x \right] _0 ^\pi + (-1)^n \int_0^{\pi} f^{(2n+1)}(x) \sin x \,dx \\[4pt] &= F(\pi) + F(0) + (-1)^n \int_0^\pi 0 \,\sin x\,dx \\[4pt] &= F(\pi) + F(0).\tag*{\(\blacksquare\)} \end{align}\]

이제 \(\pi\)가 무리수임을 증명하자.

정리 8. \(\pi\)는 무리수이다.

증명

\(\pi\)가 유리수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pi = p/q\)이고 서로소인 자연수 \(p\)와 \(q\)가 존재한다. \(n\)이 자연수이고 \[I_n = \frac{q^n}{n!} \int_0^\pi x^n (\pi -x)^n \sin x \,dx\] 라고 하자. 피적분함수 \( x^n (\pi -x)^n \sin x\)는 적분 범위 내에서 \(0\) 이상의 값을 가지며 \(x = \pi / 2\)일 때 최댓값을 가지므로 \[0 < I_n \le \frac{q^n}{n!} \int_0^\pi \left( \frac{\pi}{2}\right)^{2n} \,dx = \frac{\pi q^n}{n!} \left( \frac{\pi}{2}\right)^{2n}\] 이다. 보조정리 4에 의하여, \(n\,\to\,\infty\)일 때 \[\frac{\pi q^n}{n!} \left( \frac{\pi}{2}\right)^{2n} \,\to\,0\] 이므로, 샌드위치 정리에 의하여 \(I_n \,\to\,0\)이다. 그러므로 충분히 큰 자연수 \(n\)에 대하여 \[0 < I_n < 1 \tag{9}\] 이다. 이제 \(n\)은 (9)를 만족시킬 정도로 충분히 큰 자연수라고 하고 \[P(x) = x^n \left( p-qx \right)^n ,\,\, f(x) = \frac{P(x)}{n!}\] 라고 하자. \(p\)와 \(q\)가 자연수이므로 \(P(x)\)는 정수계수를 갖는 \(2n\)차 다항식이며 최저차항의 차수는 \(n\)이다. 또한 \(\pi = p/q\)이므로 \[P(x) = x^n (p-qx)^n = q^n x^n (\pi - x)^n\] 이고 \[I_n = \frac{1}{n!} \int_0^{\pi} P(x)\sin x\, dx = \int_0^\pi f(x) \sin x\,dx\] 이다. 그러므로 (7)에서 정의한 함수 \(F\)를 이용하면 보조정리 7에 의하여 위 적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I_n = F(\pi ) + F(0).\tag{10}\] 그런데 \(P(x)\)는 최저차항의 차수가 \(n\)인 다항함수이므로, 보조정리 6에 의하여 \(F(0)\)은 정수의 합이다. 즉 \(F(0)\)의 값은 정수이다. 더욱이 보조정리 5에 의하여 \(F\)는 그래프가 직선 \(x = \pi/2\)에 대칭인 함수의 합이므로 \(F\)의 그래프 또한 직선 \(x = \pi/2\)에 대칭이다. 그러므로 \(F(\pi) = F(0)\)이다. 즉 \(F(\pi)\)의 값도 정수이다.

이로써 (10)의 우변은 정수와 정수의 합이므로 \(I_n\)은 정수이다. 그런데 (9)에 의하여 \(I_n\)은 \(0\)보다 크고 \(1\)보다 작다. 이것은 모순이다.

그러므로 \(\pi\)는 유리수가 아니다.

추신

고등학교 미적분 수준에서 쓰려고 했는데, 처음부터 단조수렴 정리가 나와버렸다. 망했나?

아니다. 단조수렴 정리는 쉬우니 관심 있으면 찾아보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