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함수의 연속성

함수가 연속이라는 것은 직관적으로 그 그래프가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함수가 연속이고 역함수가 존재할 그 역함수의 그래프 또한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다음 정리를 얻는다.

역함수의 연속성

함수 \(f\)가 닫힌 구간 \(I\)에서 연속이고 일대일인 함수라고 하자. 그리고 \(f\)의 치역을 \(J\)라고 하자. 그러면 역함수 \(f^{-1} :J \to I\) 또한 연속이다.

미적분학에서는 보통 이 정리를 증명하지 않고 고등 과정(해석학)으로 미룬다. 해석학에서는 보통 컴팩트 집합의 성질을 이용하여 이 정리를 증명하기 때문에 이제 미적분학을 막 공부한 사람이 이해하기에는 쉽지 않다.

여기서는 지나치게 어렵지 않은 방법으로 이 정리를 증명하고자 한다. 이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보조정리가 필요하다.

단조수렴 정리

\(h\)가 구간 \(I\)에서 정의된 증가함수이고 \(d\)가 \(I\)의 끝점은 아닌 점이라면 \(d\)에서 \(h\)의 좌극한과 우극한은 모두 수렴한다. 만약 \(d\)가 \(I\)의 왼쪽 끝점이고 \(h\)가 \(I\)에서 아래로 유계라면 \(d\)에서 \(I\)의 우극한이 수렴하며, 만약 \(d\)가 \(I\)의 오른쪽 끝점이고 \(h\)가 \(I\)에서 위로 유계라면 \(d\)에서 \(I\)의 좌극한이 수렴한다.

증명. 다음과 같은 집합을 생각하자. \[E = \left\{ h(x) \,\vert\, x \in I ,\, x < d \right\}\] 이 집합은 위로 유계이므로 실수계의 성질에 의하여 상한, 즉 오른쪽 끝점을 가진다. 이 점은 \(E\)의 원소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것은 상관 없다. 그 점을 \(L\)이라고 하자. 그리고 \(\epsilon > 0\)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L\)이 \(E\)의 오른쪽 끝점이므로 \(L - \epsilon < h(a) \le L,\) \(a < d\)인 점 \(a\)가 존재한다. \(\delta = d-a\)라고 하면 \(d - \delta < x < d\)일 때 \[L - \epsilon < h(x) \le L\] 이므로 \(d\)에서 \(h\)의 좌극한은 \(L\)에 수렴한다.

같은 방법으로 \(d\)에서 \(h\)의 우극한이 존재함을 보일 수 있다.

이제 역함수의 연속성을 증명하자.

역함수의 연속성의 증명. 두 단계로 증명한다.

1단계. \(f\)가 닫힌 구간에서 일대일 함수이므로 \(f\)는 \(I\)에서 증가함수이거나 또는 \(f\)는 \(I\)에서 감소함수이다. 이 사실을 증명하자. 결론에 반하여 \(f\)가 \(I\)에서 증가함수도 아니고 감소함수도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I\)의 세 점 \(x_1 ,\) \(x_2 ,\) \(x_3 \)이 존재하여 \(x_1 < x_2 < x_3\)이면서 \(f(x_1 ) < f(x_2 ) > f(x_3 )\)이거나, \(x_1 < x_2 < x_3\)이면서 \(f(x_1 ) > f(x_2 ) < f(x_3 )\)이 성립한다. 두 가지 중 첫 번째 경우에 대하여 증명하자. \(f(x_1 ) < f(x_2 ) > f(x_3 )\)인 경우, \[C = \frac{f(x_2 ) + \max \left\{ f(x_1 ) ,\, f(x_3 ) \right\}}{2}\] 라고 하면 \[f(x_1 ) < C < f(x_2 ) ,\qquad f(x_2 ) > C > f(x_3 )\] 이므로 연속함수의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 x_1 < p_1 < x_2 < p_2 < x_3 \] 인 두 점 \(p_1 ,\) \(p_2 \)가 존재하여 \[ f(p_1 ) = C = f(p_2 )\] 를 만족시킨다. 이것은 \(f\)가 일대일 함수라는 데에 모순이다. \(f(x_1 ) > f(x_2 ) < f(x_3 )\)인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모순을 끌어낼 수 있다. 그러므로 \(f\)는 \(I\)에서 증가함수이거나 감소함수일 수밖에 없다.

2단계. 이제 \(f\)가 \(I\)에서 증가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f^{-1}\)는 \(J\)에서 증가함수이다. \(d \in J\)이고 \(d\)가 \(J\)의 끝점은 아니라고 하자. 그리고 \(f^{-1}\)가 \(d\)에서 연속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f^{-1}\)는 증가함수이므로 단조수렴 정리에 의하여 \(d\)에서 \(f^{-1}\)의 좌극한과 우극한이 존재하며, 둘 중 하나는 \(f^{-1}(d)\)와 다르다. \(d\)에서 \(f^{-1}\)의 좌극한이 \(p\)이고 그 값이 \(f^{-1}(d)\)와 다르다고 하자. \(c = f^{-1}(d)\)라고 하자. 그러면 \(p < c\)이며, \(p < x < c\)인 \(x\)는 \(I\)에 속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만약 \(p < x < c\)인 \(x\)가 \(I\)에 속한다면 \(y=f(x)\)에 대하여 \[ y < d \quad \text{and} \quad f^{-1}(y) < c = f^{-1}(d)\] 이므로 \(d\)에서 \(f^{-1}\)의 좌극한은 \(f^{-1}(y)\)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것은 \[f^{-1} (d^- ) = p < f^{-1}(y)\]이므로 모순이다. 그러므로 \(d\)에서 \(f^{-1}\)의 좌극한은 \(f^{-1}(d)\)와 다를 수 없다. 마찬가지로 \(d\)에서 \(f^{-1}\)의 우극한도 \(f^{-1}(d)\)와 다를 수 없다. 이것은 \(f^{-1}\)가 \(d\)에서 연속임을 의미한다. \(f\)가 \(I\)에서 감소함수인 경우도 같은 방법으로 \(f^{-1}\)가 \(d\)에서 연속임이 증명된다.

\(d\)가 \(J\)의 왼쪽 끝점이거나 오른쪽 끝점인 경우에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d\)에서 \(f^{-1}\)의 극한값과 함숫값이 같음을 보일 수 있다.